[그래픽뉴스] 양간지풍<br /><br />어젯밤(18일) 강원도 양양에서 산불이 발생했습니다.<br /><br />바람을 타고 불이 번지면서 인근 민가의 주민들이 긴급 대피했지만, 다행히 인명피해 없이 6시간 만에 화재가 진압됐는데요.<br /><br />이 지역 대형 산불의 주범인 '양간지풍'이 불어닥치는 시기인 만큼 산불 예방에 총력을 기울여야 할 때입니다.<br /><br />오늘의 그래픽 뉴스, 입니다.<br /><br />봄은 산불이 나기 쉬운 계절이죠.<br /><br />지난 10년간 발생한 산불의 60%는 2월부터 4월 사이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는데요.<br /><br />현재 동해안 일대에는 대형산불위험예보가 발령돼 있습니다.<br /><br />초속 10에서 20m, 순간최대풍속 초속 30m 이상의 거센 바람이 예상되면서 '양간지풍'의 영향권에 놓였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양양과 간성, 즉 고성 사이에 부는 바람, 양간지풍. 불을 몰고 오는 바람이라고 해서 이 일대 주민들은 '화풍'으로도 부르는데요.<br /><br />남쪽은 고기압, 북쪽은 저기압에 놓이면서 강한 서풍 기류가 발생하고, 이 기류가 태백산맥을 넘으면서 고온 건조한 돌풍으로 변하게 됩니다.<br /><br />이런 양간지풍이 불 때 산불이 발생하면 산불 확산 속도가 급격히 빨라지는데요.<br /><br />국립산림과학원 연구에 따르면 산불은 경사 30도, 풍속 초속 6m의 조건에서 무풍, 무경사일 때보다 그 확산 속도가 무려 79배까지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풍속 초속 20~30m를 웃돌며 태백산맥을 타고 부는 양간지풍의 위력은 그보다 더 어마어마하다는 의미인데요.<br /><br />축구장 3,900여 개에 해당하는 산림이 불타면서 수많은 이재민이 발생해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됐던 2019년 고성 일대 산불.<br /><br />천년고찰 양양 낙산사를 집어삼켰던 2005년 양양 산불.<br /><br />강원에서 경북 지역까지 백두대간의 산림을 무려 2만3천여㏊나 잃게 만든 200년 삼척 일대의 초대형 산불 등, 양간지풍의 강력한 위력은 역대 대형 산불에서 여러 차례 드러난 바 있습니다.<br /><br />강원도는 오는 3월까지 양간지풍 발생지역을 중심으로 산불예방 특별대책을 추진할 계획인데요.<br /><br />최근 10년간 산불 발생 원인, 절반에 가까운 46%가 '입산자의 실화'에 따른 것으로 나타난 만큼 시민들의 각별한 주의도 필요합니다.<br /><br />등산할 때 성냥이나 라이터 등 화기물 소지 금지하고 담배꽁초를 버리지 말아야 하겠고요.<br /><br />산림 인접 지역에서 논밭두렁 태우기나 쓰레기 소각을 해서는 안 되겠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그래픽 뉴스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